1. 숫자 데이터끼리의 연산을 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
- + : 덧셈
- - : 뺄셈
- * : 곱셉
- / : 나눗셈
- % : 나머지
- ** : 제곱
console.log(num1 + num2)
console.log(num1 - num2)
console.log(num1 * num2)
console.log(num1 / num2)
console.log(num1 % num2)
console.log(num1 ** num2)
>> 5
-1
6
0.6666666666666666
2
8
2. 증감연산자 ++, --, +=, -=
let num1 = 2
console.log(++num1)
console.log(num1++)
console.log(num1)
>> 3
3
4
- 증감연산자가 앞에 있고 뒤에 있고의 차이는 다르다.
- 증감연산자가 앞에 있으면 최초 2에서 1을 증감한 값을 출력하고
- 뒤에 있으면 변수를 출력한 뒤 증감을 하기 때문에 다음 선언부터 증감된 값이 출력되게 된다 .
- += 는 자기 자신에 더하는 값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- 예를 들어 num1+= num2 는 num1 = num1+num2 와 같다.
let num1 = 2
let sum = 0
console.log(sum+=num1)
console.log(sum+=num1)
>> 2
4
- 증감 연산자를 사용할 sum 을 사용하려면 초기 값을 설정해줘야 한다.
- 최초 num1 의 값이 1이었지만 sum 에 sum+num1 의 결과를 sum 변수에 저장하면 0이었던 sum 의 값은 2가 된다.
- 두번 째 출력에서 2+num1을 한 번 더 하면 4가 출력된다.
- 이는 이후 반복문에서 자주 사용하게 될 연산자이다.
3. 비교연산자
- 두 값을 비교해 boolean 값으로 결과를 반환한다.
- a<b : b가 a 보다 크다.
- a>b : a가 b보다 크다.
- a!=b : a 와 b는 같지 않다.
- a<=b : b가 a보다 크거나 같다.
- a>=b : a가 b보다 크거나 같다.
4. 논리연산자
- &&(and) : 연산 대상이 모두 true 여야 true 반환
- ||(or, 엔터 키 위에 있는 키) : 두 연산 중 하나라도 true 면 true 반환
- !(not) 연산 결과의 반대를 반환, 만약 연산 결과가 true 라면 false를 반환
5. 일치 연산자 == 와 ===
- == 두 값이 일치하는지 비교하지만, 데이터타입이 일치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데이터타입을 같게 만들어준 후 반환
let num1 = 1
let num2 = '1'
console.log(num1 == num2)
>> true
- num1 은 숫자, num2 는 문자열이지만 값은 1이기 때문에 숫자 1 을 문자열로 변환해서 연산을 수행한다.
- === 두 값과 데이터타입이 모두 일치하는지 반환
let num1 = 1
let num2 = '1'
console.log(num1 === num2)
>> false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Script 함수 (0) | 2022.11.04 |
---|---|
JavaScript 조건문 (1) | 2022.11.03 |
JavaScript 데이터타입 (0) | 2022.11.03 |
Java Script 변수(var, let, const 차이) (0) | 2022.11.03 |
JavaScript Hello World(with node.js) (0) | 2022.11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