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키텍처1 DDD(Domain Driven Design) in Nest.js express만 사용하다 nest.js를 도입하기로 한 후 수박 겉핥기 식으로 공부해서 프로젝트에 적용시켰는데, 그러다보니 이렇다 할 구조도, 체계도 없이 중구난방인 프로젝트가 되어버려서 프로젝트 리뉴얼 하는 김에 도메인 주도 개발(이하 DDD)를 도입하기로 했다. DDD는 복잡한 도메인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, 비즈니스 로직과 도메인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아키텍쳐이다. 데이터베이스에서 내 정보를 찾는 간단한 플로우로 예시를 들면서 알아보자 DDD의 구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.프레젠테이션 계층 (Presentation Layer)- Controller- DTO (Data Transfer Object)애플리케이션 계층 (Application Layer)- UseCase Class / Ser.. 2024. 6. 25. 이전 1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