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배열 : 같은 형식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는 방식
- 배열의 선언
let arr1 = new Array(1,2,3,4,5)
let arr2 = [1,2,3,4,5]
- 첫 번째 방법은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배열을 선언한다. JavaScript 내부 클래스인 Array를 활용한 방식이다.
- 두 번째 방법은 클래스를 호출하지 않고 바로 만드는 방법이다. 첫 번째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배열을 선언할 수 있다.
- 배열 내 요소에 접근
- 배열 내 각각의 요소에 접근하기 위해선 인덱싱을 사용한다.
console.log(arr1[0], arr1[4])
>>1 5
- 컴퓨터에선 0부터 수를 세기 때문에 arr1[0]은 배열의 첫 번째 요소에 접근한다는 뜻이고, arr1[4]는 배열의 다섯번 째 요소에 접근한다는 뜻이다.
- 배열의 길이 알아내기
- 배열 내 요소의 개수, 즉 길이에 대해 알기 위해선 배열명.length를 사용한다.
console.log(arr1.length)
>> 5
- 배열 내 요소는 1부터 5까지 순서대로 있기 때문에 5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- 배열 요소 추가&삭제
arr1.push(6)
console.log(arr1)
>> [1, 2, 3, 4, 5, 6]
- 배열명.push(추가할 요소) 를 사용하면 배열의 맨 마지막에 요소가 추가된다.
let arr1 = new Array(1,2,3,4,5)
arr1.pop()
console.log(arr1)
arr1.shift()
console.log(arr1)
>> [1,2,3,4]
[2,3,4]
- 배열명.pop()을 사용하면 배열의 맨 마지막 요소가 삭제된다.
- 배열명.shift()를 사용하면 배열의 맨 첫번째 요소가 삭제된다.
- 이 외에도 VScode가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면 배열명에 .을 쓸 때 나타나는 각종 메소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.
- 배열과 반복문
- 배열을 반복문에 사용해 요소들을 하나씩 꺼내면서 반복할 수 있다.
let arr1 = new Array(1,2,3,4,5)
for (let i = 0; i < arr1.length; i++) {
console.log(arr1[i])
}
>> 1
2
3
4
5
- for() 안에 반복횟수를 arr1.length 로 지정해 주면 각각 배열의 크기만큼 반복하기 때문에 각각의 요소에 하나하나 접근할 수 있다.
- arr[i]를 이용해 각각 요소 위치에 접근해 요소들을 출력한다.
for (let i of arr1) {
console.log(i)
}
>> 1
2
3
4
5
- for of 를 사용해 배열 각각의 요소를 i 변수에 담고 i 출력을 반복하면 쉽게 배열 요소를 출력할 수 있다.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Script 비동기 처리 이해하기(Callback) (0) | 2022.11.12 |
---|---|
JavaScript, Scope (0) | 2022.11.11 |
JavaScript 클래스&객체 (0) | 2022.11.04 |
JavaScript 함수 (0) | 2022.11.04 |
JavaScript 조건문 (1) | 2022.11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