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Git

Git, 워킹 디렉토리, 스테이징 영역, 커밋

by nacjji 2022. 11. 23.

워킹 디렉토리와 스테이징 영역

워킹 디렉토리(working directory) : 작업을 하는 폴더
스테이징 영역(staging area) : 커밋 전 변경사항들을 등록하는 곳, git add 파일명 명령어를 사용해 working directory에서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변경된 파일을 등록 할 수 있다. 

 

Workflow

1. 작업착수(work on stuff)

초기화 된 깃 저장소

- 초기화가 진행된 깃 저장소에서 작업을 시작한다. 

touch newWork.txt 로 새 txt 파일 생성 후 열기
touch secondWork.txt 로 새 txt 파일 생성 후 열기
newWork.txt와 secondWork.txt에서 각각 작업을 수행하고 저장한다.

- 파일 저장을 마치고 git status 로 상태를 출력하면 추적하지 않는 파일에 newWork.txt 파일이 추가되었다. 

git status

 

- git add newWork.txt 명령어로 working directory에서 staging area 로 파일이 올라간 것을 볼 수 있다. 

아직 커밋이 진행된 상태는 아니다.

 

- newWork.txt 와 secondWork.txt 를 한번에 커밋하기 위해 secondWork.txt 도 staging area 로 올려준다. 

newWork.txt 와 secondWork.txt 가 스테이지에 올라갔다.

 

- 커밋을 하기 앞서 커밋 메시지를 작성해야한다.

커밋 메시지(commit message)

변경사항이 있는 작업의 내용을 요약해 설명하는 메시지

git commit -m "커밋 메시지 입력"

 

- 커밋 메시지를 입력하고 상태를 확인해보자. 

 

 

- 여기까지가 작업을 하고, 스테이지에 변경된 작업을 올리고, 커밋하는 3단계 과정이다.

 

git add . : 변경된 작업들을 모두 스테이지에 올려주는 명령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