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이전에 만들고 작업했던 폴더 gitPrac 에서 새로운 work3 파일을 만든다.
- work3 파일을 열어 글을 작성하고 저장한 뒤 secondWork 파일을 수정한다.
- git status 명령어로 확인해보면, 수정한 파일에 이전에 커밋한 secondWork.txt 가 올라가 있고 추적하지 않는 파일에 work3.txt 가 올라가 있다.
- 변경한 두 파일을 커밋하기 전 git add를 사용해 스테이지에 올려준다.
- 커밋 메시지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두 파일이 커밋된 것을 볼 수 있다.
git log 명령어
git log
- git status 와 마찬가지로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명령어로, 정보를 검색하는 명령어이다.
- 지금까지 실행한 2번의 커밋 정보를 볼 수 있다.
- 저자와 저자의 이메일, 날짜, 커밋메시지를 볼 수 있다.
- q를 눌러 이전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.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, VIM 빠져나오기(커밋 메시지를 입력하지 않고 커밋했을 때) (0) | 2022.11.24 |
---|---|
Git, 원자적 커밋 (0) | 2022.11.24 |
Git, 워킹 디렉토리, 스테이징 영역, 커밋 (0) | 2022.11.23 |
Git, git init - 저장소 초기화 (0) | 2022.11.23 |
Git, 파일, 폴더, 깃 저장소 초기화 관련 명령어 (0) | 2022.1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