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JavaScript33

JavaScript Array(배열) 1. 배열 : 같은 형식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는 방식 배열의 선언 let arr1 = new Array(1,2,3,4,5) let arr2 = [1,2,3,4,5] 첫 번째 방법은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배열을 선언한다. JavaScript 내부 클래스인 Array를 활용한 방식이다. 두 번째 방법은 클래스를 호출하지 않고 바로 만드는 방법이다. 첫 번째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배열을 선언할 수 있다. 배열 내 요소에 접근 배열 내 각각의 요소에 접근하기 위해선 인덱싱을 사용한다. console.log(arr1[0], arr1[4]) >>1 5 컴퓨터에선 0부터 수를 세기 때문에 arr1[0]은 배열의 첫 번째 요소에 접근한다는 뜻이고, arr1[4]는 배열의 다섯번 째 요소에 .. 2022. 11. 4.
JavaScript 클래스&객체 1. 객체(Object) 타입 관련 있는 데이터들을 묶어 한번에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 타입 2. 클래스(Class) 선언 객체를 만들기 위해 공통된 속성들을 묶어 놓은 것 쉽게 말해 클래스는 붕어빵 틀, 객체는 붕어빵 틀로 찍어낸 붕어빵과 같다. 3. 클래스&객체 예시 클래스 선언 Notebook이라는 클래스를 선언 constructor 는 생성자이고 함수와 비슷하게 매개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. 중괄호 블록 내부의 this는 객체 자신을 가리키는 키워드이고, name,price,company 는 이 객체의 속성을 의미한다. 노트북이라는 클래스에 이름,가격,제조사는 노트북이 가지고 있는 속성이라고 이해하면 된다. class Notebook{ constructor(name,price,company){ th.. 2022. 11. 4.
JavaScript 함수 1. 반복되는 작업을 함수를 통해 간편하게 할 수 있다. 2.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것처럼 함수에 코드 자체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다. 3. 함수의 기본 형태 function 함수명(매개변수들){ 함수에서 실행할 코드들 return 반환값 } 매개변수 : 함수에서 실행할 코드들의 변수와 같은 역할 return : 함수가 실행되고 나서 반환되는 값 4. 함수 예시 function calculator(a,b) { let sum = a+b return sum } console.log(calculator(2,3)) >> 5 간단한 예시로 a와 b를 매개변수로 할당받은 값을 더하는 함수이다. function으로 함수를 만들고 console.log(calculator(2,3))으로 함수.. 2022. 11. 4.
JavaScript 조건문 1. 특정 조건일 때 구문을 실행하는 조건문 let age = 28 if (age > 성인입니다. age 에 28 값을 할당하고 첫번째 반복 구문 if 에서 age가 20보다 작다면 '미성년자입니다.' 를 출력 그게 아니라면 '성인입니다'를 출력하는 코드이다. age는 20보다 작은게 아니기 때문에 첫번째 if 블록은 실행하지 않고 else블록만 실행하기 때문에 결과는 '성인입니다.' 라고 나온다. 2. 여러가지 상황을 가정하는 조건문 위 코드는 두가지의 상황만을 가정하기 때문에 다채로운 조건을 설정할 수 없다. else if 구문을 사용해 여러가지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. let score.. 2022. 11. 3.
반응형